히키코모리 뜻
‘히키코모리’(ひきこもり)는 일본어로 “은둔형 외톨이”를 의미하는 단어다. 일반적으로 사회와의 접촉을 피하고 집이나 방 안에 장기간 틀어박혀 생활하는 사람들을 지칭한다. 심리적 원인은 다양하지만, 대체로 사회적 불안, 좌절, 외부의 압박감 등이 주요 이유로 꼽힌다. 이 용어는 현대 사회에서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는 사람들을 설명하는데 널리 쓰이며, 이는 단순한 ‘집순이’, ‘집돌이’와는 달리 심리적,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스스로 사회에서 멀어지는 성향을 강조한다.
히키코모리 역사
‘히키코모리’는 1990년대 일본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한 개념이다. 당시 일본 경제는 버블 붕괴로 인해 장기 불황에 접어들었고, 직장 환경이 불안정해지면서 사회적 스트레스가 증가했다. 이로 인해 많은 젊은이가 직장이나 학업에서 실패를 경험하거나 과도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사회에서 멀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히키코모리'가 주목받게 되었다.
특히 1998년 일본의 심리학자 사이토 타마키가 ‘히키코모리’ 현상에 관한 연구와 저서를 발표하면서 이 용어는 더욱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는 히키코모리를 단순히 게으르거나 나약한 것으로 보는 관점을 지양하고, 사회적 요인과 심리적 요소가 깊게 얽혀있는 하나의 사회적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후 ‘히키코모리’는 일본뿐 아니라 한국과 같은 동아시아 국가를 비롯해 다양한 국가에서 주목받으며 관련 연구와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히키코모리 사용법
‘히키코모리’는 주로 사회와의 접촉을 꺼리고 고립된 생활을 하는 사람들을 설명할 때 사용된다. 현대 사회에서 청소년과 청년층뿐만 아니라 성인층까지 확산되는 경우가 많으며, 최근에는 사회적 고립을 자조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SNS나 커뮤니티에서는 ‘자발적 히키코모리’라는 표현을 통해 일부 사람들은 집에 머무는 것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거나, 고립의 편안함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다만, 히키코모리는 심리적, 정신적 문제를 내포할 수 있어 조심스럽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사용 예시는 다음과 같다:
- “그 친구는 일 때문에 스트레스를 너무 받아 히키코모리처럼 지내고 있어.”
- “나는 자발적 히키코모리야. 집에서 책 보고 영화 보는 게 제일 편하더라.”
- “사회적 고립감이 깊어지면 히키코모리가 될 수도 있다고 하니, 주기적으로 사람들과 만나는 게 중요해.”
‘히키코모리’는 사회적 고립과 현대인의 심리적 압박을 설명하는 중요한 단어로 자리 잡았다.
'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흠좀무 뜻 역사 사용법 (0) | 2024.11.30 |
---|---|
희망고문 뜻 역사 사용법 (3) | 2024.11.23 |
히트다 히트 뜻 역사 사용법 (4) | 2024.11.16 |
후빨 뜻 역사 사용법 (3) | 2024.11.11 |
형저메 뜻 역사 사용법 (7) | 2024.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