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0

무야호 뜻 역사 사용

단어 뜻 '무야호'는 큰 뜻은 없으며 별거 없는 상황에서 감탄사로 사용하는 단어다. 단어 역사 무야호 원본 '무야호'는 과거 2010년 3월 6일 방영된 mbc 예능 무한도전 195회 외박 특집 오마이텐트에서 나온 말이며 당시 크게 이슈가 있진 않았으나 방영된 지 8년이 지난 2018년 무한도전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것을 시작으로 2019년 MBC 유튜브 채널 오분순삭에 일반인 레전드 편으로 '무야호'가 올라오며 유행이 시작됐다. 이후 '무야호'가 밈으로서 본격적으로 사용된 계기는 에펨코리아의 한 글로 주제 무리뉴가 토트넘 홋스퍼 FC 감독 부임 당시 무리뉴의 인터뷰와 기행에 '무야호'를 합성한 영상이 큰 인기를 얻으며 여러 패러디들이 생겨났다. 전설의 무리뉴 무야호  단어 사용법 1. 산 정상에 올라가서..

2024.05.13

무새 뜻 역사 사용법

무새 뜻 '~무새'는 접미사로 사용되며 상대의 말에 논리와 상관없이 앵무새처럼 같은 말만 반복하는 사람을 비하하는 용어다. 보통은 반복되는 말의 앞글자를 따서 'ㅇ무새'라고 하며 그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기 힘든 경우는 두 글자를 사용해 'ㅇㅇ무새'로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 예로는 망한다를 반복해 이야기하는 '망무새', 군대 이야기만 하는 '군무새', 섹스를 외치고 다니는 '섹무새', 뭐만 하면 '주작'이라 외치는 '주작무새' 등이 있다. 비슷한 표현으로는 '녹음기' 무새 사용법 1. 친구와 대화할 때 친구 ; 아 '섹ㅇ'하고 싶다~~ 본인 : 이거 이거 완전 '섹무새'구만 2. 부장님과 대화할 때 부장 : ㅇ대리 지금 가서 보고서 좀 작성해 주세요 본인 : 이거 이거 완전 '일무새'구만

2024.03.19

막 이래 뜻 역사 사용법

막 이래 뜻 '막 이래'는 '막 이러는 거지'라는 뜻으로 자기가 한 말에 스스로 태클을 거는 '내가 뭐래니'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다. 보통 본인 입으로 말하기 껄끄럽거나 부끄러운 표현을 했을 때 마치 제 3자가 말한 것처럼 바꿀 때 사용한다. 심화 버전으로는 '이 지랄하는 거지'라는 뜻의 '이 지랄'이 있다. 막 이래 역사 '막 이래'는 2000년대 중반 10~20대 여성 사이에서 이어져오는 유행어로 시작의 역사는 불분명하나 일본어 번역 오류에서 나온 '랄까?'체와 비슷한 맥락으로 사용되는 것을 보아 '랄까?'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유행어는 문맥 상에 오류가 있어 인터넷 게시글 등에선 찾아보기 힘들지만 구두로는 사용되어 왔다. 2007년에는 브라운아이드걸스의 오아시스라는 곡에 등장할 정도..

2023.11.16

멈춰 뜻 역사 사용법

멈춰 뜻 '멈춰'는 2012년 경에 도입되어 2014년까지 시행되었던 학교폭력 예방 대책 매뉴얼에 제시된 표어로 누군가 학우를 괴롭히는 것을 목격하거나 혹은 학교폭력 당하는 것을 목격했을 때 손을 앞으로 쭉 내밀며 외치는 구호이다. 멈춰 역사 '멈춰'가 등장한 것은 매우 좋지 못한 이유로 등장했는데 2011년 말 대구광역시 덕원중학교 2학년으로 재학 중이던 권 군이 집단 괴롭힘을 견디지 못해 투신하면서 당시 학교폭력에 대한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이에 정부는 학교폭력 방지 대책을 세우기 위해 여러 정책이 시행되었으며 1982년 노르웨이 심리학자 댄 올베우스가 창시한 'Stop Bullying'을 벤치마킹한 '학교폭력 멈춰!' 운동을 대표 정책으로 14년까지 시행되었다. 폭력을 행하는 사람이 제일 큰..

2023.10.19

문크 예거 뜻 역사 사용법

문크 예거 뜻 '문크 예거'는 '문재인' 전 대통령과 일본 만화 진격의 거인 등장인물 '지크 예거'를 합친 별명으로 부정적 의미로 사용된다. 문크 예거 역사 *진격의 거인 스포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문크 예거'는 디시인사이드 진격의 거인 갤러리에서 역대 전 대통령 '노무현', '이명박' 등 합성대결에 처음 등장했으며 정치풍자물의 대표적 예시이다. '진격의 거인' 작중 배경은 갑자기 출현한 정체불명의 식인종 거인들에 의해 대부분의 인류가 잡아 먹히며 인류가 절멸 위기에 처한다. 생존자들은 높이 50m의 거대한 삼중 방벽을 건설하여 방벽 안으로 도피 거기서 100년간 평화를 누렸으나 갑자기 나타난 초대형 거인으로부터 방벽에 구멍이 나고 거인들이 구멍으로 들어와 인류를 잡아먹히는 국가적 위기와 '문재인 정..

2023.10.04

몸짱 뜻 역사 사용법

몸짱 뜻 '몸짱'은 타인에 비해 뛰어나게 좋은 몸을 가리키는 칭호로 보통 운동으로 단련된 근육질 몸매에 붙인다. 그중 식스팩 유무가 몸짱의 기준이 된다. 몸짱 역사 2003년 12월 8일 딴지일보 '[봄날 프로젝트] 니들에게 봄날을 돌려주마! -2탄'에 '몸짱'이란 단어가 나오는데 꽤나 오래전부터 사용된 단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2006년 티비 프로그램에서 '몸짱 아줌마'란 칭호로 40대 주부가 꾸준한 운동을 통해 균형 잡힌 멋진 몸매와 회춘을 보여주며 '몸짱'이란 단어가 전국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했다. 번외로 이때 근력운동이 유행했고, 너도나도 '몸짱' 칭호를 얻기 위해 무리한 운동으로 되려 부상만 당하는 일도 많았다. 몸짱 사용법 1. 피트니스클럽 1일 차 운동 후 거울을 봤을 때 본인 : (거..

2023.09.20

밈 뜻 역사 사용법

밈 뜻 '밈(meme)'은 한 사람이나 집단에서 다른 지성으로 생각 혹은 믿음이 전달될 때 전달되는 모방 가능한 사회적 단위를 총칭 단어. 넷상에선 인터넷 커뮤니티나 SNS 등지에서 퍼져나가는 여러 문화의 유행과 파생, 모방의 경향 또는 창작물이나 작품의 요소를 총칭하는 단어이다. 밈 역사 '밈(meme)'은 1976년 동물학자 리처드 도킨스의 저서 '이기적 유전자'에서 처음 나온 용어인 '밈'에서 파생된 개념으로 본래는 인간의 유전자와 같이 복제, 번식해 대를 이어 전해져 오는 종교나 사상, 이념 같은 정신적 사유를 의미했다. 그러다 '밈'이 지금의 의미를 가지게 된 계기는 2001년 MIT 학생 패레티가 나이키 운동화에 아동노동착취공장이라 새겨줄 것을 주문했지만 나이키는 이를 거절했고, 이를 페레티는..

2023.09.01

맘충 뜻 역사 사용법

맘충 뜻 '맘충'은 '어머니'를 뜻하는 영어 'Mom'과 한자 '蟲(벌레충)'을 합친 단어이다. '맘충'은 '엄마'의 입장을 당연한 특권처럼 내세워 상대의 권리를 빼앗거나 무시하고 나아가 개인과 단체, 사회 전반에 민폐 혹은 피해를 끼치는 행위를 일삼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맘충 역사 '맘충'은 과거 2015년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 백종원 출연당시 방송촬영을 위한 라이브 방송 때 소식을 듣고 몰려온 수많은 '어머니'들이 채팅창에 본인의 자녀 이름을 읽어달라 부탁하는 채팅을 도배를 했고, 도가 지나쳐 정상적인 방송 진행이 안되자 이에 분노한 마이 리틀 텔레비전 시청자와 팟수들 사이에서 시작된 단어이다. 당시 채팅을 치는 사람들의 닉네임이 OO맘, XX맘, ㅁㅁ맘 등 본인의 자녀 이름 + 맘을 붙인 형태였..

2023.08.30

마기꾼 뜻 역사 사용법

마기꾼 뜻 '마기꾼'은 '마스크'와 '사기꾼'의 합성어로 마스크를 착용했을 땐 외모가 뛰어나 보이지만 마스크를 벗으면 못생겨지거나 나아가선 다른 사람이 되어버리는 사람을 부르는 말이다. 이러한 원인으로 마스크 쓴 사람의 외모를 판단할 때 눈만 보고 판단하게 된다. 이때 뇌는 마스크 속 코, 입, 피부, 하관 등을 상상으로 채우게 된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본인이 생각하기에 가장 어울리는 이쁜 혹은 멋진 이미지로 채우기 때문에 마스크 벗은 모습에 큰 실망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마기꾼'에 반대되는 말은 '마해자'로 '마스크'와 '피해자'의 합성어이다. 보통 '마스크'를 써도 훌륭한데 '마스크'를 벗으니 외모가 더 훌륭해지는 사람들에게 사용한다. 사실상 지금 시대 최고의 칭찬 마기꾼 역사 '마기꾼'이란 단..

2023.05.10

믿거 뜻 역사 사용법

믿거 뜻 '믿고 거른다'의 줄임말로 '믿거' 앞에 역시, 역시나를 붙여 마치 예견된 상황이나 행동을 믿고 걸렀다는 의미로 사용 가능하고, '믿거'뒤에 김, 이, 조, 박 등 사람의 성씨를 붙여 이 성씨는 거른다는 의미와 사람 이름을 붙여 이 사람은 거른다는 의미로도 사용 가능하다. 믿거 역사 믿고 거르다는 훠어얼씬 옛날부터 사용했던 단어지만 '믿거'라는 단어가 나오게 된 건 정확한 유래는 없지만 2018년도 전후로 해서 '믿거조'가 등장하면서 파생된 단어로 전해 내려오고 있다. 믿거 사용법 1. 친구가 애인이 바람나 헤어졌을 때 친구 1 : ㅜㅜ 나 애인 바람나서 헤어졌어 친구 2 : 그러게 클럽 다니는 애들은 '믿거'하라니까! 2. 친구가 거짓말로 혼돈을 주었을 때 친구 1 : 야 나 여자친구 생겼다~..

2023.02.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