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폭주족 뜻 ‘폭주족’은 주로 오토바이나 차량을 이용하여 도심이나 고속도로 등지에서 집단으로 과속하거나 위험하게 운전하며, 일반인의 안전과 질서를 위협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이 단어는 일본어 '보소조쿠(暴走族)'에서 유래했으며, '폭주'는 제어 없이 달린다는 의미이고, '족'은 무리를 뜻한다. 즉, 통제를 벗어난 채 달리는 사람들의 집단이라는 뜻이다. 폭주족은 단순한 난폭운전자와는 구별되며, 이들은 주로 밤 시간대에 무리를 지어 굉음을 내며 도심을 질주하거나 드리프트, 급정지 등 위험한 행동을 반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행위는 대중의 불안감을 유발하고 교통사고를 초래할 위험이 크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강한 비난의 대상이 된다. 폭주족 역사 '폭주족'이라는 용어는 1950년대 일본에서 처음 등..
국거박 뜻 ‘국거박’은 ‘국민거품 박병호’의 줄임말로, 박병호 선수에 대한 악의적인 비난과 비하를 목적으로 한 악플러의 대표적인 닉네임이다. 원래 닉네임은 ‘솔잎바람’이었으며, 이후 활동 중 ‘국민거품 박병호’라는 이름으로 닉네임을 변경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주로 박병호와 넥센 히어로즈 관련 기사에 비방성 댓글을 꾸준히 달아온 인물로, 박병호에 대한 악성 여론 형성에 기여한 대표적 인물이다. 줄여서 ‘거박’ 또는 ‘국거박’으로 불리며, 야구 커뮤니티에서는 악플러의 대명사처럼 회자된다. 국거박 역사 초기에는 이승엽 선수를 깎아내리기 위해 이병규와 비교하며 댓글을 달았고, 주로 ‘솔잎바람’이라는 아이디를 사용했다. 이후 2013년부터 박병호로 타깃을 바꾸면서 ‘국민거품 박병호’라는 닉네임으로 전환, 본격적..
류뚱 뜻 ‘류뚱’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류현진을 가리키는 별명이다. 이 별명은 그의 실제 성(류)과 친근하게 부르는 말투(뚱이, 또는 뚱뚱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그의 체격 조건과 동시에 인간적인 매력을 동시에 함축한다. ‘뚱’이라는 표현은 보통 통통하거나 둥글둥글한 이미지를 가진 사람에게 사용되지만, 여기서는 비하보다는 오히려 애칭에 가깝다. 특히 류현진은 마운드 위에서는 강력하고 침착한 투수지만, 그라운드를 벗어나면 유쾌하고 털털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어 이 별명이 팬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게 되었다. 즉, ‘류뚱’은 류현진의 뛰어난 기량과 더불어 인간적인 면모까지 포괄하는, 애정이 담긴 호칭이다. 류뚱 역사 ‘류뚱’이라는 별명이 처음 등장한 시기는 류현진이 KBO 리그 한화 이글스에서 활약하던 ..
썸붕 뜻 ‘썸붕’은 ‘썸 타다가 붕괴’의 줄임말이다. 여기서 ‘썸’은 연인으로 발전하기 전, 서로에게 관심을 보이며 밀당을 하는 관계를 의미하고, ‘붕’은 '붕괴'의 약자로 관계가 무너졌다는 뜻이다. 즉, '썸붕'은 연애로 이어질 것처럼 보였던 썸 관계가 갑자기 무너졌을 때 쓰는 표현이다.예상보다 감정이 안 맞거나, 한쪽이 갑자기 연락을 끊거나, 과한 밀당 혹은 타이밍 미스로 인해 ‘썸’이 ‘연애’로 이어지지 못했을 때, 인터넷이나 친구 사이 대화에서 이 단어가 자주 등장한다. “아, 걔랑 잘 될 줄 알았는데 썸붕났어…”처럼 사용된다. 썸붕 역사 ‘썸붕’이라는 표현은 2010년대 중후반부터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되기 시작했다. 특히 연애 관련 커뮤니티, 페이스북 익명 고백 페이지,..
'찢' 뜻 '찢'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지칭하는 인터넷상의 멸칭 중 하나로, 주로 부정적인 맥락에서 사용된다. 이 단어는 그의 형수 욕설 논란에서 "니 씹구멍 찢으면 좋겠니?"라는 욕설에서 기인했다. 이로 인해 '찢재명', '찢지사', '찢죄명' 등 다양한 파생형이 만들어졌으며, 결국 단순히 '찢'이라는 한 글자만으로도 이재명을 지칭하거나 조롱하는 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별명이 되었다.이 표현은 단순한 줄임말을 넘어서, 강한 감정이 담긴 멸칭의 역할을 하며, 이재명 지지자와 비지지자 간의 정치적 대립을 상징하는 언어적 상징으로 자리잡았다. '찢' 역사 해당 표현은 2012년 형수 욕설 녹취록이 인터넷에 확산되면서 등장한 단어로, 2017년 대선과 2022년 대선 과정에서 점차 대중화되었다. 특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