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1

뉴비 뜻 역사 사용법

뉴비 뜻 '뉴비'는 온라인 게임이나 인터넷 커뮤니티에 가입한 지 얼마 안 되는 유저나 초보자를 말하는 단어로 미국에서 건너온 용어다.  뉴비 역사 '뉴비'는 미국에서 pc통신이 유행하던 1980년대 중반쯤 생긴 것으로 추정되는 단어로 정확한 유래는 불분명하다. 다만 'new'와 'beginner'의 합성어다, 1950년대 미국, 호주 등지에서 입문자를 의미하는 'newie'에서 나왔다, 영국에서 신입생을 뜻하는 속어 'new boy'에서 왔다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지만 지금은 'new' + 'baby'라고 보는 것이 정설이다. '뉴비'가 한국에서 처음 쓰이기 시작한 것은 온라인 게임 울티마 온라인에서 외국 샤드를 하던 한국인들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고, 지금의 뜻과 같이 사용되었다. 이후 외산 게임 유저..

2024.05.28

느금마 뜻 역사

느금마 뜻 대표적인 패드립 단어로 '느그'와 '엄마'가 합쳐진 단어다. 뜻은 단어 그대로 '너네 엄마'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보통 부정적 상황이나 말에 사용하여 상대방의 부모 중 '어머니'를 욕보이게 만드는 단어다. 줄여서 '느금', 초성만 따서 'ㄴㄱㅁ', 'ㄴㄱ'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느금마 역사 '느금마'는 가장 심한 욕설 중 하나인 패드립 중 하나로 2010년대 말에서 2020년대 초쯤 등장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패드립은 상대가 아닌 상대의 부모를 거론해 모독하는 것이기 때문에 암묵적 금기가 되어있었는데 1990년대 '엄보불(엄마 보지 불고기)', '아타(아빠 타이어)', '아불당(아빠 불알 당구공)'등 현대 패드립의 시초 격인 창의적 패드립이 등장하였고, 2000년대에는 '엠창(우리 엄..

2024.04.16

나 하니인데 개추 눌렀다 뜻 역사 사용법

나 하니인데 개추 눌렀다 뜻 '나 XX인데 개추 눌렀다'는 '개념글 추천 눌렀다'라는 뜻으로 '개추 눌렀다'밈은 올리버쌤의 '와 젖탱이 보소'와 같이 본인의 발언이 아닌 타인의 발언으로 유명해졌다는 공통점이 있다. 나 하니인데 개추 눌렀다 역사 '나 하니인데 개추 눌렀다'는 2023년 8월 유튜브에 올라온 하니(뉴진스) - Painkiller (AI Cover) 댓글에 한 유저가 '안녕 하니야.. 댓글 보면 좋아요 눌러줘'라고 쓴 댓글에 다른 유저가 '나 하니인데 개추 눌렀다'라고 단 댓글이 뜬금없이 웃음을 터지게 했고, 이 댓글과 대댓글이 여러 커뮤니티로 퍼지게 되면서 밈화되어 유행하게 되었다. 지금은 여기서 추가해 '나 OO인데 얘 하니 맞음 ㅇㅇ'이런 식으로 대댓글 놀이를 하고 있다. 원 댓글이 있..

2023.12.28

나무위키 꺼라 뜻 역사 사용법

나무위키 꺼라 뜻 '나무위키 꺼라'는 말 그대로 '나무위키 꺼라'는 말이며 위키 특성상 정보의 신뢰성이 떨어지므로 위키에서 가져온 정보를 치워라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나무위키 꺼라 역사 '나무위키 꺼라'의 등장은 2016년 일본 구마모토 지진 때 애니프사를 한 트위터 유저가 지진에 대해 좆문가질을 하며 어그로를 끌었고 이에 한 트위터 이용자가 '잘 알지도 못하면서 나무위키 보고 와서 아는 척 좀 하지 마라'라는 명언을 남긴 데에서 유래했다. 이때 애니프사를 한 씹덕을 무시하는 문화와 게다가 트위터 특유의 허세문화와 허언문화가 어우러져 많은 사람들에게 반감을 샀고, 이는 트위터, 애니프사를 조롱하기 위한 웃음거리로 많은 인터넷 커뮤니티로 퍼졌다. 결과 '나무위키 꺼라'는 밈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용이 ..

2023.11.06

내로남불 뜻 역사 사용법

내로남불 뜻 '내로남불'은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의 줄임말로 기혼자가 있는 상태에서 다른 사람과의 부적절한 관계를 맺는 간통을 내가 하면 세기의 애절한 사랑이지만 남이하면 배우자를 두고 바람이나 피우는 천하의 몹쓸 놈이라 생각하는 걸 비꼬는 용어이다. 이는 전형적인 나는 해도 괜찮지만 남이 하면 안 되는 이중잣대를 비꼬는 데 사용된다. 내로남불 역사 '내가하면 로맨스 남이하면 불륜'은 김인희, 기독교 100년과 한국 교육, 기독교사상 1984년 5월호와 요즘 학생들의 농담 중에 '로맨스와 스캔달의 차이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있다. 이 질문에 대한 정답은 '내가 하는 연애는 로맨스이고 남이 하는 연애는 스캔달'이라는 것이다. 1987년 이문열 구로아리랑에 등장하는데 하기사 자기 하믄 로맨스..

2023.09.15

남사친, 여사친 뜻 역사 사용법

남사친, 여사친 뜻 '남사친'은 '남자 사람 친구'의 줄임말로 친구이긴 한데 성별이 남자인 친구이다. 반대말론 '여자 사람 친구'의 줄임말인 '여사친'이 있다. 남사친, 여사친 역사 '남사친', '여사친'의 유래는 네이버 웹툰 '와라! 편의점' 45화 마지막 장면에 '누나 얘는 그냥 친한 여자사람이에요'라는 대사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이성친구와 단 둘이 다니거나 누군가에게 소개를 할 때 상대방이 어떤 관계냐고 물어보면 보통은 '친구'라 이야기하고 성별을 붙여 '남자친구', '여자친구'라고 말하지 않는다. 저런 식으로 성별을 붙여 이야기하면 애인 관계로 오해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보통은 '친구', 혹은 '남자인 친구', '여자인 친구'라고 이야기하는데 마침 '남자 사람 친구', '..

2023.09.07

~누 뜻 역사 사용법~

~누 뜻 의문형 종결어미 중 하나인 '~누'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표준어로 '뭐 하누?', '되겠누?'처럼 물음이나 의문을 나타낸다. ~누 역사 '~누'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될 정도로 오랜 옛날부터 사용해 왔고, 지금도 노인분들이 자주 사용하는 어투이다. 하지만 인터넷상에서 사용하는 '-누'는 의미가 살짝 다른데 디시인사이드와 일간베스트 사이트에서 사용하는 '~노'의 대체로 등장했다. '~노'는 일베저장소의 미러링 사이트 일간워스트에서 처음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 사이트에서 '-노'를 정치적 목적으로 대체하기 위해 '-농', '-닭' 등등 억지스러운 단어를 사용하다 표준어에 등재되어 있고 '~노'와 체가 비슷한 '~누'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정작 일간워스트에서는 '~누'를 '~노'..

2023.09.05

뇌피셜 뜻 역사 사용법

뇌피셜 뜻 '뇌피셜'은 동물의 머릿속에 있는 '뇌'와 공식 입장이란 뜻의 '오피셜(Official)'의 합성어로, '어떠한 주장에 대해 자기 혼자만의 생각을 마치 공식 발표나 사실인 것 마냥 이야기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간단히 정리하면 '혼자만의 생각'정도로 이야기할 수 있다. 뇌피셜 역사 '뇌피셜'이 정확히 언제 어디서 시작되었는지는 모르나 해외축구 관련 커뮤니티에서 출발했을것으로 유추하고 있다. '오피셜'이란 단어는 원래 축구 쪽 보도나 선수 이적에 관한 경우에 주로 쓰였던 단어이다. 보통 축구는 좋은 선수의 이적 여부에 따라 팀의 성적이 좌우되는데 이때 본인이 원하는 선수가 팀에 왔으면 하는 바람 혹은 타 팀 팬들을 놀리기 위한 여러 '뇌내망상'을 '오피셜'인 것 마냥 합성을 하거나 글을 쓰..

2023.08.29

노답 뜻 역사 사용법

노답 뜻 '노답'은 영어 'NO'와 한국어 '답'이 합성된 단어로 '답이 없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노답'앞에 '핵'을 사용해 '핵노답'으로 노답 강조형으로 사용하거나 '노답'의 자음만 따서 'ㄴㄷ'으로도 사용한다. 노답 역사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엄청 옛날부터 사용되고 지금까지도 사용되는 단어다. 단 모든 유행어가 그렇듯 제대로 유행을 탄 시기가 있었는데 때는 2000년대 중후반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가 대중적 인기를 끌고 있을 때 김캐리 해설이 '답이 없습니다 캐리어 가야 합니다', '답이 없죠 캐리어 가야 합니다' 등의 답이 없으니 아묻따 캐리어라는 해설을 주로 하였다. 이때의 해설이 큰 유행을 타 밈화가 되면서 유행을 탔고 나중에 스타크래프트 인기가 식고 프로리그가 없어지면서 이 해설은 '캐리..

2023.08.22

뇌절 뜻 역사 사용법

뇌절 뜻 '뇌절'은 1절 혹은 2절로 끝나야 할 말과 행동을 3절, 4절 심지어 5절까지 반복하여 상대방을 곤란하게 만들거나 질리게 하여 지치게하는 부정적 의미의 단어이다. 이는 더 나아가 단어 자체를 재해석하여 뇌가 끊어지는 것처럼 사고가 정지된다라는 뜻으로도 종종 쓰인다. 뇌절 역사 먼저 '뇌절'은 만화 나루토에 등장인물 하타케 카카시의 기술 '뇌절'에서 나온 단어이다. 이 '뇌절' 이란 단어가 지금의 뜻으로 불리기 시작한 시기는 2017년도 경 만화 갤러리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때는 한참 카카시가 평가절하 당하면서 조롱받던 시기였는데 그의 주력 기술인 '뇌절' 짤과 함께 조롱식의 글을 계속해서 올라왔고, 멈출 줄 몰라 끊임없이 '뇌절'하는 게시글에 질린 사람들의 '뇌절 좀 그만해'라고 한 ..

2023.08.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