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개비 뜻 역사 사용법

느개비 뜻

 

‘느개비’는 원래 비가 질척하게 내리는 모습이나 흙탕물이 질퍽거리며 흐르는 모양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등재되어 있는 이 단어는 본래 비판적 뉘앙스 없이 자연 상태를 묘사하는 중립적 단어였지만, 최근 인터넷을 중심으로 전혀 다른 의미로 쓰이며 욕설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특히 최근 몇 년 사이 여초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느개비'는 남성의 아버지를 조롱하거나 비하하는 표현으로 전용되기 시작했고, 그 과정에서 '느금마(네 엄마)', '느개미(네 개 같은 미친 X)' 등의 혐오적 표현을 '미러링'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느개비 역사

 

‘느개비’라는 단어가 인터넷 상에서 혐오 표현으로 쓰이기 시작한 시기는 대략 2010년대 중후반 이후로 추정된다. 특히 메갈리아, 워마드, 여성시대 등 극단적 페미니즘 성향의 커뮤니티에서 '느금마'류의 여성 혐오 욕설에 대해 '그럼 우리는 아버지를 비하하겠다'는 대응 논리로 만들어낸 표현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초기에는 단순히 인터넷 밈 혹은 미러링의 일환으로 쓰였지만, 시간이 지나며 실제로 남성의 가족, 특히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는 명백한 모욕성 언어로 자리 잡았다. 더불어 여초 커뮤니티에서는 아예 아버지를 '개비'라고 부르거나, '느개비'를 축약하여 비하어처럼 쓰는 경우도 많아졌다.

 

놀랍게도 ‘느개비’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려 있다. 다만 해당 사전에서는 욕설이 아닌 은어로서의 '아버지'라는 의미로만 기재되어 있으며, 온라인 상에서 파생된 욕설 의미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728x90

 

느개비 사용법

 

1) 아버지를 비하하거나 조롱할 때 사용

‘느개비’는 대체로 여초 커뮤니티 내부에서 남성의 아버지를 낮춰 부를 때 사용하는 용법으로 자리 잡았다. 대표적으로는 '너네 느개비가 뭐라 하더라?'와 같은 문장이 있다. 이는 분명히 상대의 가족을 비하하는 의도를 담고 있으며, 다분히 공격적이다.

2) '미러링' 혹은 '역조롱'의 용도로 사용

여성 비하 표현에 대응하여 '너희가 느금마라고 하면, 우리는 느개비라고 하겠다'는 식의 반격 논리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런 용법은 겉보기에 대등한 대응처럼 보이지만, 결국 또 다른 형태의 혐오 발언이라는 점에서 비판받기도 한다.

3) 일반 사용은 지양되는 표현

단어가 갖는 혐오성과 조롱의 의도가 너무 강해, 일반 대화나 공적인 자리에서는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되는 표현이다. 실사용자는 대부분 익명성이 보장되는 커뮤니티 안에서 제한적으로 이 표현을 사용한다.

 

SMALL

 

결론

 

‘느개비’는 원래 자연 상태를 묘사하는 순우리말에서 시작했지만, 지금은 일부 커뮤니티에서 남성에 대한 혐오와 조롱의 상징어로 변질되었다. 표면적으로는 '느금마' 같은 여성 비하 욕설에 대응한 표현이지만, 결국 또 다른 차별과 혐오를 양산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표현이다. 인터넷 상에서 조롱과 혐오가 반복되며 새롭게 만들어지는 언어들이 많지만, 이런 표현들이 언젠가는 현실에서도 무심코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위험성과 파급력을 경계해야 한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날먹 뜻 역사 사용법  (1) 2025.06.30
뉴라이트 뜻 역사 사용법  (4) 2025.06.21
노가다 뜻 역사 사용법  (3) 2025.06.13
남편 뜻 역사 사용법  (4) 2025.06.12
나니가스키 뜻 역사 사용법  (4) 2025.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