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창 뜻
‘남창(男娼)’은 돈을 받고 성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남성을 의미한다. 영어로는 ‘Male Prostitute’, ‘Gigolo’라고 하며, 때로는 ‘기둥서방’이라는 뉘앙스도 포함될 수 있다. 여성의 경우 ‘창녀’라고 부르는 것처럼, 남성 성노동자를 지칭하는 말이다. 통칭으로는 창남, 창놈이라는 비속어로도 불린다.
한자어 순서가 ‘창녀’와 반대인 이유는 ‘창(娼)’ 자 자체가 여성에게 먼저 붙는 구조에서 비롯되며, 이로 인해 남창은 '남자인데도 성매매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남성 동성애자, 양성애자, 또는 이성애자이지만 경제적 이유로 몸을 파는 사람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이며, 성적 정체성과 직업 선택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남창 역사
남창은 고대부터 존재해온 직업으로, 단순히 현대의 음지문화가 아니라 오랜 사회적 배경과 권력, 성문화와 얽혀 있다. 중국 명·청 시대에는 ‘연동(戀童)’이라 불리는 소년 남창이 극장, 주루에서 성행했고, ‘남원(男院)’이라는 전문 매음처도 존재했다. 일본 에도 시대에는 ‘이로코(色子)’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으며, 이들을 위한 유곽 ‘카게마차야(陰間茶屋)’까지 있었다.
조선은 성리학 문화 영향으로 이러한 성적 표현이 금기시되었지만, 실질적으로는 남사당패나 사당패 내부에서 남창 행위가 암암리에 이루어졌으며, ‘해우채(解衣債)’라는 성매매 대가가 통용되었다. 특히 농촌에서는 남성 간 성매매가 성욕 해소의 수단으로 자리 잡았고, 이는 하층민 문화의 한 단면이었다.
근현대 이후에는 ‘제비족’이나 ‘스폰서남’, 호스트바 남성 종사자 등 여성을 상대하는 남창도 점차 가시화되었다. 호주 등 일부 국가는 매춘이 합법화되며 남성을 위한 성매매 서비스도 제도권 안에 포함되었다.
남창 사용법
1) 남성 성노동자 지칭
가장 일반적인 사용은 성을 매매하는 남성을 일컫는 표현으로, 이성애자 여성을 상대하든 동성애자 남성을 상대하든 모두 포함한다. 예: "그 사람 남창이라더라" 또는 "이태원에서 활동하는 남창들이 꽤 많대."
2) 인터넷 비하어 및 밈
유튜버나 스트리머가 돈을 위해 무리한 행동을 할 때 "프로남창", "냄챙" 등의 비하어가 붙기도 한다. 단순히 성적인 맥락이 아니라, 돈에 지나치게 집착하거나 비호감스러운 모습을 보이는 인물을 지칭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
예: "쟤는 그냥 남창급으로 돈이면 다 하는 거 아니냐." 또는 축구선수 루카쿠의 행보를 비판하며 "그 남창짓은 뭐냐?"라고 표현하는 식이다.
3) 사회적 은어로 확장된 의미
호스트바, '토닥이' 등의 여성 대상 남성 성서비스 종사자를 지칭하거나, 헬스트레이너·수영강사 등 일부 직업군에서 성적인 후원 관계를 맺는 경우에도 이 단어가 사용된다. 여기서는 '돈 받고 몸을 판다'는 개념이 핵심이다.
예: “그 트레이너, 사실상 남창이라는 소문도 있어.”
4) 부작용과 현실
외형상 화려해 보일지 모르지만, 남창 역시 극심한 감정노동·육체노동을 요구하는 직업이다. 발기 여부가 실무에 직결되기 때문에 각종 약물 사용이 필수이고, 장기적으로 성기능 저하를 겪는 경우도 많다. 정서적 피로감 역시 무시할 수 없다.
예: “남창은 그냥 몸만 파는 게 아니라 정신도 같이 갈려나간다.”
결론
‘남창’이라는 단어는 단순히 성을 파는 남성을 지칭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지니며 활용된다. 동성애, 계급, 성문화, 자본주의, 인터넷 밈 등 복잡한 요소들이 얽힌 이 단어는 그만큼 민감하면서도 시대상을 반영하는 지표라 할 수 있다.
단어 자체는 혐오적일 수 있으나, 그 이면에는 빈곤, 강제, 사회 구조의 불균형 등 더 깊고 복합적인 문제가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한 조롱이나 비하가 아니라, 해당 개념이 가진 역사와 사회적 맥락을 함께 인식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카마 뜻 역사 사용법 (3) | 2025.07.03 |
---|---|
날먹 뜻 역사 사용법 (1) | 2025.06.30 |
느개비 뜻 역사 사용법 (1) | 2025.06.25 |
뉴라이트 뜻 역사 사용법 (4) | 2025.06.21 |
노가다 뜻 역사 사용법 (3) | 202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