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0

딸피 뜻 역사

딸피 뜻 '딸피'는 체력이 존재하는 게임에서 체력이 얼마 남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게임 용어로 최근에는 '꼰대 노인' 즉 '틀딱'을 대신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딸피 역사 '딸피'는 MMORPG가 국내에 본격적으로 유행한 2000년대 초반에 등장한 게임 용어로 본인의 캐릭터나 상대의 캐릭터, 몬스터의 체력바가 빨간색으로 변하거나 체력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 '피가 빨간색이다'의 '빨피' '피가 딸린다'의 '딸피' '피가 1 남았다'의 '피 1' 그 외 '개피', '실피'등으로 본인의 체력이나 상대의 체력을 알릴 때 사용된다. 이처럼 게임 용어로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으나 2023년 3월 1월에 블라인드에서 한 글이 올라왔는데 요즘 애들은 '틀딱'이란 말 대신 '딸피'를 사용한다는 글이었다. 하지만..

2024.05.22

돔황챠 뜻 역사

돔황챠 뜻 '돔황챠'는 '도망쳐'라는 뜻으로 '도망쳐'를 우스꽝스럽게 변형한 단어이다. 간혹 발음하기 어려워 '돔황챠' 대신 비교적 쉬운 '돔황차'를 사용하기도 한다. 돔황챠 역사 '돔황챠'는 2020년 초 암호화폐 초대유행 때 '가즈아'의 반대말로 등장한 단어로 '가자'를 길게 늘여 '가즈아'로 변형한 것처럼 디시인사이드에서는 기존에 자주 사용하는 단어를 갤러리 식으로 변경해 사용하는 습성이 있는데 '돔황챠'도 '도망쳐' > '돔망쳐' > '돔항쳐' > '돔황쳐' > '돔황챠' 대충 이런 비슷한 형태로 변형이 되어 사용했다. 이러한 특성으로 주로 주식과 코인 커뮤니티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일상생활에서 밈으로도 자주 사용된다.

2023.11.28

디토합니다 뜻 역사 사용법

디토합니다 뜻 '디토합니다'는 '동의'란 뜻을 가진 라틴어, 영어 '디토'와 한국어 '합니다'의 합성어로 해석한 그대로 '동의합니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디토합니다 역사 'Ditto'라는 단어가 대중들에게 알려지게 된 건 2023년 1월에 발매된 뉴진스 싱글 앨범 OMG에 'Ditto'란 제목의 곡이 수록되면서 유명해졌다. 노래가 크게 성공하자 팬들은 'Ditto'의 뜻을 알아보기 시작했고 '디토'의 뜻이 '동의'인걸 알자 '동의합니다' 대신 '디토합니다'를 사용하면서 유행이 됐다. 디토합니다 사용법 1. 친구와 약속 잡을 때 본인 : 야 오늘 피방 가는 각? 친구 : 어 오늘 브론즈 승급 전 가야 하는 각? 본인 : '디토합니다' 친구 : '디토'

2023.11.26

딸바보 뜻 역사 사용법

딸바보 뜻 '딸바보'는 '딸'과 '바보'의 합성어로 '딸'이 '바보'란 뜻이 아니라 '딸'을 너무나 사랑한 나머지 '딸'만 바라보는 '바보'가 되었단 의미로, 자신의 딸을 각별히 아끼는 부모란 뜻이다. 주로 엄마보단 아빠에게 사용한다. 딸바보 역사 '딸바보'의 시초는 불분명하나 2006년 블로그 게시글에 사용했고, 2009년도 한 기사에 '딸 바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으로 보면 2000년대 초중반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2010년도 들어 방송계에서도 '딸바보'란 표현을 사용했고, SNS에 서도 '딸바보'인증이 유행했다. 하지만 뭐든 과하면 체하는 법. 이를 이용해 이미지 메이킹을 시도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딸바보'는 '딸을 좋아하는 부모'에서 '딸을 내세워 이미지메이킹'그 의미가 살짝..

2023.11.14

돈쭐 뜻 역사 사용법

돈쭐 뜻 '돈쭐'은 '돈'과 '혼쭐 내다'의 합성어로 '혼쭐 내다'는 '몹시 꾸짖거나 벌을 주다'라는 뜻인데 이를 반어법으로 사용하여 사회적으로 선행을 베풀거나 의로운 행위를 한 자에게 '선한 행동을 했으니 가게의 물건이나 음식을 마구 구매해 정신없이 바빠지게 하여 혼을 내주어야겠군'이라는 뜻으로 사용하고 있다. 보통은 자영업자, 가게 드물게는 기업을 상대로 사용한다. 돈쭐 역사 '돈쭐'의 기원은 알 수 없으나 2010년도 중 후반쯤 등장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당시 뉴스는 살기 팍팍한 시절답게 좋지 않은 뉴스들로 가득했는데 어둠 속에도 빛이 있는 법 선한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과 가게들이 뉴스에 소개되었고 이 뉴스를 짤로 만든 것이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사람들에게 퍼지면서 단어가 탄생, 유행..

2023.10.25

똥꼬충 뜻 역사 사용법

똥꼬충 뜻 '똥꼬충'은 '똥꼬' + '충'이 합쳐진 단어로 여기서 '똥꼬'는 동성 간 항문성교를 의미하며 '충'은 벌레란 뜻으로 게이, 트랜스젠더, 크로스드래서 등 남성 동성애자를 비하하는 단어이다. 똥꼬충 역사 '똥꼬충'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불분명하나 2015년도에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에선 2000년부터 퀴어문화축제가 열렸는데 2014년 축제 때 동성애를 반대하는 어버이연합과 기독교단체와의 충돌로 미디어에 타면서 축제 중 혐오를 들게 하는 패션, 퍼레이드, 문구들이 대중들에 큰 반감을 샀다. 해가 지나고 2015년 퀴어문화축제가 열리며 전년도보다 더 심해진 노출과 선정성이 평소 동성애에 부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는 디시인사이드 몇몇 갤러리를 넘어 일반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

2023.09.19

대인배 뜻 역사 사용법

대인배 뜻 '대인배'는 '소인배'의 접두어인 '작을 소'를 '큰 대'로 대치시킨 신조어로 의외로 기존에 존재했던 단어가 아니다. '대인배'는 그릇이 넓고 덕이 있는 사람 혹은 집단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대인배 역사 '대인배' 언제부터 쓰였는지는 모르나 처음 사람들에게 등장하게 된 것은 만화가 김성모 작품 럭키짱에서 시작되었다는 게 정설이다. 작중 '소인배는 대인배를 알아보는 눈이 없어 소인배라 하는 것이지'라는 대사가 있는데 이때 처음 '대인배'가 등장하였다. 이후 김성모의 말에 따르면 고등학교 친구가 '너는 소인배지만 난 대인배야'라는 말을 자주하여 거기서 따온 것이라 하였고 실제 있는 단어로 알고 있었는데 나중에 찾아보니 없는 단어라고 해서 당황했다고 한다. 작품에 처음 등장한 뒤로 대중적으로 인지..

2023.09.02

다꾸 뜻 역사 사용법

다꾸 뜻 '다꾸'는 '다이어리 꾸미기'의 줄임말로 말 그대로 다이어리를 꾸민다는 뜻이다. 다꾸 역사 '다꾸'라는 단어는 2007년도에서 사용한 기록이 있을 정도로 꽤나 옛날부터 사용되어 온 단어이다. 하지만 이는 마니아층들 사이에서 간간히 사용되는 단어였는데 '다이어리 꾸미기'가 2010년도 후반 재유행하면서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단어가 되었다. '다이어리 꾸미기'는 스티커 모으기, 카드 수집하기, 프라모델 조립 등 마니아층 취미로 꾸준히 사랑받아왔다. 모든 마니아층 취미가 그렇듯 이러한 취미들은 대게 10년 단위로 유행을 타기 마련인데 2010년대 후반 코로나로 인한 자택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사람들이 집에서도 쉽게 할 수 있는 취미를 찾기 시작했고 '다이어리 꾸미기'가 이때 다시 유행하기 시작했..

2023.08.23

답정너 뜻 역사 사용법

답정너 뜻 '답은 정해져 있으니 너는 답만 하면 돼'의 줄임말로 듣는 이에게 원하는 대답 하도록 유도하거나 강요하는 유도신문 화법이다. 듣고 싶은 대답은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다른 대답이 나온다면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크게 화를 내거나 삐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화법이 듣는 이로 하여금 상당한 거부감이 들게 하는데 답정너는 자기 합리화의 방법으로도 사용될 수 있어 자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답정너 역사 정확한 유래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2010년도쯤 스마트폰 보급이 활발해지고 문자와 모바일 메신저 사용량이 늘면서 위와 같은 짤들이 생성되었는데 누가 봐도 정해진 답을 듣고 싶어 하는 상대방의 모습에 분노한 사람들이 '답은 정해져 있으니 너는 대답만 해'를 줄여 "이거 완전 답정너네"라는..

2023.04.05

딸배 뜻 역사 사용법

딸배 뜻 오토바이 배달 기사들을 비하하는 단어 택배 기사, 퀵기사들에게도 딸배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것은 잘못된 표현이며 폭주족들에게도 딸배란 표현을 쓰는데 폭주족들은 체면 떨어지는 배달을 하지 않아 폭주족에게도 딸배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잘못된 표현, 예외로 난폭운전을 일삼은 화물차 기사(안전 운전하시는 화물차 기사님 제외)에게 큰딸배라고 하는 경우는 있다. 딸배 역사 '배달'을 거꾸로 읽으면 '달배'가 되는데 배달의 은어처럼 사용하다 달배→딸배 가 되었다는게 정설이다. 비슷한 예시로 '건달'의 은어 '달건이'가 있다. 단어의 사용시기는 꽤 오래전인 90년대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2003년 한국경제신문과 한겨레 21의 기사에서 딸배라는 단어가 언급되는 만큼 옛날부터 사용된 단..

2023.02.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