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딸피 뜻 ‘딸피’는 원래 게임에서 체력이 거의 없는 상태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달피’(달빛의 줄임말)나 MMO RPG 게임 용어와는 무관하다. 그러나 2024년 3월경 블라인드발 글에서 ‘죽을 날 얼마 안 남은 노인네들’을 지칭하는 새로운 신조어로 사용된다고 주장되면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유행하게 되었다. 이 표현은 기존의 ‘틀딱’이라는 단어를 대체한다는 맥락으로 처음 알려졌지만, 실제로 젊은 층에서 사용된 사례는 거의 없었다. ‘딸피’는 어감 자체가 강렬하고 찰지다는 이유로 남초 커뮤니티, 특히 디시인사이드와 같은 곳에서 자학적 유머로 자리 잡았다. 따라서 이 용어는 진지한 의미에서 사용되기보다는 밈으로 소비되며, 특정 세대나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데 적합하다. 딸피 역사 ‘딸피’의 유래는 2..
돔황챠 뜻 '돔황챠'는'돔황챠'는 '도망쳐'의 변형된 표현으로, 급박한 상황에서의 패닉이나 서두르는 모습을 코믹하게 나타낸 인터넷 밈이다. 이 용어는 주로 암호화폐(코인) 거래와 관련된 맥락에서 사용되며, 시장의 급락이나 투자 실패의 공포를 과장되게 묘사하는 데 활용된다. '돔황챠'는 상황을 풍자적으로 표현하며, 단순한 경고를 넘어선 유머 요소를 담고 있다. 돔황챠 역사 '돔황챠'는'돔황챠'는 2020년에서 2021년 사이 전자화폐 열풍이 재점화되면서 등장한 표현이다. 이 시기는 암호화폐의 가격이 극단적으로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면서 투자자들의 감정 기복이 크게 드러나던 시기였다. '돔황챠'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투자자들의 패닉셀(공황 속에서 매도하는 행위)과 호들갑을 희화화한 표현으..
디토합니다 뜻 '디토합니다'는 영어 단어 'Ditto'(디토)와 한국어 '합니다'가 결합된 표현으로, '동의합니다'라는 의미를 가진다. 'Ditto'는 라틴어 *dictus*에서 유래하여 '같다', '동의하다', '앞서 언급한 것과 동일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단어가 한국어와 결합하면서 '디토합니다'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졌으며, 주로 젊은 층과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간단한 동의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토합니다 역사 '디토합니다'라는 표현이 널리 퍼진 계기는 2023년 1월 발매된 뉴진스(NewJeans)의 싱글 앨범 *OMG*에 수록된 곡 *Ditto* 때문이다. 이 노래는 뉴진스의 특유의 감성과 중독성 강한 멜로디로 큰 성공을 거두었고, 팬들 사이에서 곡 제목인 'Ditto'의 의미에 대한 ..
딸바보 뜻‘딸바보’는 딸과 바보의 합성어로, 딸을 너무 사랑하고 애지중지하여 딸 앞에서 바보가 될 정도로 애정을 쏟는 부모를 뜻한다. 이 표현은 대부분 아빠에게 적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딸에 대한 깊은 애정을 유머러스하게 표현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영어로는 ‘Doting dad’ 혹은 ‘Doting for daughter’로 번역되기도 한다. 딸바보 역사‘딸바보’라는 표현은 과거부터 존재했으나, 대중화된 것은 인터넷과 SNS의 발달 이후이다. 2000년대 중반 해외 축구(EPL)와 해외 연예인과 관련하여 사용된 용례가 있으며,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시점은 2009년 이후이다. 일본어 ‘親バカ(오야바카)’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설도 있으나, 일본에는 딸을 대상으로 한 ‘娘バカ(무스메 바카)’ 용례는 ..
돈쭐내다 뜻 ‘돈쭐내다’는 ‘돈’과 ‘혼쭐내다’의 합성어로, 원래 뜻인 ‘강하게 꾸짖다’에서 반어적으로 전환된 표현이다. 이는 사회적으로 옳은 행동을 한 사람에게 금전적 지원이나 매출 증가를 통해 ‘혼쭐’ 나게 도와주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러한 문화는 선행자의 선의를 보상하며, 가게 매출 증가로 인해 긍정적인 사회적 영향력을 확산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돈쭐내다 역사 ‘돈쭐내다’라는 표현은 2019년 홍대입구의 파스타전문점 ‘진짜파스타’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게는 결식아동 급식카드(꿈나무 카드)를 공식적으로 거부하며, 결식아동들에게 무료 식사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를 본 네티즌들이 가게에 방문하거나 주문을 통해 ‘돈쭐’을 내주었고, 이러한 선행이 사회적으로 확산되며 ‘선한 영향력 가게’라..
똥꼬충 뜻 ‘똥꼬충’은 주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는 비하적 표현으로, 성소수자(특히 게이, 트랜스젠더)나 특정 성적 취향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멸시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이 표현은 동성 간 성행위나 성적 취향을 비하하거나 경멸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며, 혐오적 언어로 분류된다.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똥꼬충’이라는 단어를 변형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돈고춘’이나 ‘돈코츠’ 등으로 표현을 바꾸어 필터링을 피하려는 시도가 있다. 이 단어는 성소수자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내포하고 있으며, 인터넷 방송, 채팅 플랫폼, 커뮤니티에서 흔히 사용된다. 영미권에서는 'fag', 'faggot', 'buggerer'와 같은 단어들이 비슷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또한,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정치적 올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