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6

인조새 뜻 역사 사용법

인조새 뜻 '인조새'는 '인생조진새끼'의 줄임말로, 주로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에서 사용하는 속어다. '인생조진새끼'는 인생이 꼬이거나 힘든 상황에 처한 사람을 비하하거나 자조적으로 부를 때 사용된다. '인조새'는 이를 더 짧고 간편하게 표현한 말이다. 인조새 역사 '인조새'라는 용어는 2010년대 중반부터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에서 유행하기 시작했다. 온라인 게임, 학업, 직장 생활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자조적으로 자신을 '인조새'라고 부르며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 시초다. 이후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불운이나 고난을 표현하는 속어로 널리 사용되었다. 인조새 사용법 친구와 같이 게임할 때본인 : "이번 판 너무 못했어. 나 완전 인조새야."친구 : "괜찮아, 넌 원래 인조새라서 더 이상 놀랍..

2024.06.24

웅니 뜻 역사 사용법

웅니 뜻 '웅니'는 주로 인터넷 커뮤니티나 SNS에서 사용되는 신조어로, '언니'의 귀엽고 친근한 변형이다. 주로 누군가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거나 장난스럽게 부를 때 사용한다. 특히 여자들 사이에서 친한 친구나 선배를 부를 때 많이 사용된다. 웅니 역사 '웅니'라는 표현은 2010년대 중반부터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를 중심으로 유행하기 시작했다. '언니'라는 단어에 귀여움을 더한 변형으로, 주로 여성들 사이에서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등에서 주로 사용되었지만, 이후 트위터와 다양한 온라인 커뮤니티로 퍼지며 인기를 끌었다. '웅니'는 특히 친밀감을 나타내는 말로 자리 잡았으며, 이후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웅니 사용법  1. 친구와 대화할 때: 본인 : "웅니, 오늘 저녁..

2024.06.21

오운완 뜻 역사

오운완 뜻 '오운완'은 '오늘 운동 완료' 줄임말로 말 그대로 '오늘 운동 완료'했다는 뜻이다.  오운완 역사 '오운완'은 '오운'의 파생어로 '오운'은 '오늘의 운동'의 줄임말이다. '오운완'이 언제 등장했는지는 불분명하다. 허나 트위터와 인스타그램 같은 해시태그 사용이 가능한 소셜 네트워크의 등장으로 단어가 대중화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여기서 해시태그는 메타데이터 태그라고도 불리며 단어 앞에 # 기호를 붙이면 그 단어에 대한 글을 모아 분류해서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이용해 운동 인증 기록을 남길 수 있었다. 2020년대 들어 건강해지기 위한 운동 열풍과 이를 인증하는 챌린지들이 등장하였고, 자연스레 많은 사람들이 '오운완'을 이용해 기록을 남기며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단어가 되었다.

2024.05.29

여름이었다 뜻 역사 사용법

여름이었다 뜻 '여름이었다'는 아무 문장의 끝에 '여름이었다'를 붙여 헛소리도 감성적인 문구로 만들어버리는 마법의 문구다. 여름이었다 역사 '여름이었다'는 2019년 트위터에서 시작된 드립으로 개소리 써놓고 끝에 '여름이었다'만 붙이면 그럴싸해짐이란 트윗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이 트윗은 많은 리트윗을 받게 되며 커뮤니티 사이트에도 퍼지게 되었다.'~이었다'로 끊는 문장은 실제 문학작품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고, 특히 `여름이었다`, '겨울이었다`등과 같이 계절이 등장하면 그때의 계절을 추억, 회상하는 느낌이 들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밈이 빠르게 퍼져나갔다.초반에는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개소리뿐만 아니라 서정적인 감성과는 뒤떨어진 글 뒤에 '여름이었다'를 붙이는 형식으로 괴리감을 주는 방식으로 유행하였으며 이..

2024.05.09

웅앵웅 뜻 역사

웅앵웅 뜻 '웅앵웅'의 본래 뜻은 주로 영화의 음향 부분 특히 한국어 대사들이 '웅얼웅얼'거리듯이 들리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였으나 현재는 기존의 뜻, 필요 없는 말을 한다는 부정적 의성어, 긴 말을 줄이는 말줄임표 세 가지 뜻으로 사용되고, 마지막으로 남성의 말과 행위 자체를 폄하하는 남혐단어로 사용된다. 웅앵웅 역사 '웅앵웅'은 2016년 9월 트위터에서 시작된 단어로 한국영화를 볼 때 효과음은 선명하게 들리는 반면 대사들은 발음이 뭉개져 제대로 안 들린다면서 '웅.. 앵웅.. 쵸키포키..'로 들린다고 말한 것이 시초다. 외국영화들은 후시녹음을 안 하는 영화도 있지만 대부분의 영화들은 70% 이상을 후시녹음하여 배우들의 대사가 선명히 들리는 반면, 우리나라는 촬영 시 생동감을 그대로 전달한다는 이유로 ..

2024.04.07

ㅇㅇ(유동닉) 뜻 역사

ㅇㅇ 뜻 'ㅇㅇ'은 익명 커뮤니티 사이트 특히 '디시인사이드'와 드물게 네이트판 등에서 유동 닉네임으로 주로 사용하는 단어다. ㅇㅇ 역사 'ㅇㅇ'은 익명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본인의 닉네임을 붙일 때 사용하는 유동 닉네임 중 하나다. 특히 디시인사이드에서 제일 많이 사용하는데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닉네임 중 하필 'ㅇㅇ'이 자주 사용되는 것에 대해 여러 가지 이유가 존재한다. 첫 번째는 주로 컴퓨터를 사용할 때 왼손은 키보드 위, 오른손은 마우스를 잡게 되는데 타자를 칠 때 가장 편한 것이 왼손 중지로 누르는 것인데 마침 왼손 중지가 'ㅇ'위에 위치한다는 이유가 있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이 오른손으로 쳐야 하는 '모음'으로만 이루어진 유동 닉네임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며 같은 '자음'으로 이루어진 ..

2024.02.26

오지다 뜻 역사 사용법

오지다 뜻 '오지다'는 '오달지다'의 줄임말로 '마음이 흡족하다, '허술한 데가 없이 야무지고 알차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오지다 역사 '오지다'는 2010년도 중반 무렵 급식체중 하나로 큰 유행이 되었다. 이 때문에 '오지다'를 신조어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오지다'는 '오달지다'의 준말로 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표준어다. 실제로 '오지다'는 2000년대까지 대중매체에 자주 쓰이는 말이었고, 문학 작품에서도 자주 사용되었다. 그런 '오지다'는 2010년 중반 들어 비아냥의 의미가 강조된 급식체로 사용이 되었고, 특히 상대방을 킹 받게 하는 '오지고요 지리구요'가 엄청난 유행을 하면서 다시금 전 국민이 아는 단어가 되었다. 오지다 사용법 1. 친구와 대화할 때 친구 1 : 야 내가 어제 롤..

2023.12.11

29만원 뜻 역사 사용법

29만원 뜻 '29만원'은 전두환 전 대통령의 전재산 '29만 1000원'을 뜻하고 있다. 29만원 역사 '29만원'은 2003년 6월 23일 재산명시 관련 재판에서 본인의 예금에 들어있는 돈은 '29만 1000원'밖에 없다고 말한 것에서 유래했다. 이 발언이 큰 화제가 되었던 이유는 전두환은 대통령을 지내던 당시 엄청난 부를 축적했고, 대통령에서 내려온 후에도 골프, 코스요리 등 온갖 호화생활을 하며 지냈다. 하지만 전두환은 대통령 재임 전 큰 죄들을 많이 저지른 범죄자였고, 정부에선 그에 대한 추징금 약 2,205억 원을 청구했는데 정작 본인은 '29만 원'만 있어 못 내겠다고 하니 이를 보는 대중들의 입장에서는 어이가 없고 '29만 원'이 큰 화젯거리가 될 수밖에 없었다. 결국 전두환은 죽기 전까지..

2023.11.30

1도 모르겠다 뜻 역사 사용법

1도 모르겠다 뜻 '1도 모르겠다'는 '하나도 모르겠다'에서 '하나'를 '1'로 바꾼 말로 '하나도 모르겠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1도 모르겠다 역사 '1도 모르겠다'는 2014년 중순에 방송된 진짜사나이 방송에서 문제를 맞히는 장면이 있었는데 여기서 헨리가 답안판에 '모라고했 는지 1도 몰으 갰습니다"('라고 적어낸 것이 유래가 되었다. 이 말이 큰 유행이 되면서 '1도 없어', '1도 안 했다' 등의 파생어도 생겨났으며 지금은 '1도 모르겠다'를 표준말로 알고 있는 사람이 생겨날 정도로 '하나'와 '1'을 혼동해서 사용 중이다. 하지만 '1'은 숫자를 나타내는 수사이고 '하나도 모르겠다'의 '하나'는 '전혀', '조금도'라는 뜻을 나타내는 명사이므로 둘을 바꿔 사용하면 언어 파괴 행위임으로 올바르..

2023.11.29

어라랍스타 뜻 역사

어라랍스타 뜻 '어라랍스타'는 '어라라?'와 '랍스타'의 합성어로 큰 뜻은 없으며 당황할 때 사용하는 감탄사 '어라라?' 뒤에 '어쩔티비'처럼 연관이 없는 단어를 붙여 사용한다 어라랍스타 역사 '어라랍스타'는 2021년 12월 트위치 스트리머 우정잉의 방송에서 시청자들이 채팅으로 '어쩔티비', '저쩔티비'로 도배하자 우정잉도 '어쩔티비', '저쩔티비' 로 받아치다 '어라랍스타'를 우연찮게 사용하면서 처음 등장했다. 시청자들은 '어라랍스타'가 무슨 말인지 몰라 우정잉에게 계속 되묻자 처음엔 요즘 유행어라 발뺌했으나 나중에 본인이 만든 말임을 밝이며 장난으로 최고의 유행어로 만들자고 이야기했고 우정잉 팬카페 '잉친쓰' 주도하에 여러 커뮤니티로 퍼날랐다. 본격적 유행이 되기 시작한건 '잉친쓰' 한 회원이 에스..

2023.11.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