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ㅇㅈ 뜻 ‘ㅇㅈ’은 ‘인정’을 초성으로 줄여 표현한 신조어다. 주로 누군가의 의견, 주장, 또는 사실에 동의하거나 공감할 때 사용된다. 이 단어는 짧고 간결한 표현으로, 특히 온라인 채팅방과 소셜 미디어에서 유행하며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ㅇㅈ’은 간단히 타인의 말에 공감한다는 뜻이지만, 상황에 따라 다양한 뉘앙스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대화 속에서 빠르게 자신의 동의를 표시하거나 분위기를 맞추는 역할을 하며, 간소화된 소통의 도구로 자리 잡았다. ㅇㅈ 역사 ‘ㅇㅈ’은 아프리카 TV와 같은 인터넷 방송 플랫폼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인기 BJ 철구와 그의 시청자들 간의 채팅에서 자주 사용되며 본격적으로 대중화되었다. 방송 중 BJ가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거나 특정한 주제를 제시할 때, 시청..
엄친아 뜻 ‘엄친아’는 '엄마 친구 아들'의 약자로, 부모가 자녀를 훈계할 때 자주 언급되는 이상적인 존재를 의미한다. 이 표현은 ‘엄마 친구 아들’이라는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자녀에게 바람직한 모델을 제시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보통 '엄친아'는 뛰어난 학업 성적, 외모, 운동 능력, 효도, 사회성 등을 갖춘 완벽한 인물로 묘사되며, 부모가 자녀에게 자신을 비교하며 훈계할 때 자주 사용된다. 이 말은 종종 자녀에게 ‘저 사람처럼 되어야 한다’는 압박을 주기도 한다. 엄친아 역사 ‘엄친아’라는 표현은 2005년부터 인터넷에서 퍼지기 시작했으며, 그 기원은 부모가 자녀를 타인과 비교하며 자극을 주는 상황에서 유래했다. '엄친아'라는 용어는 디시인사이드, 버디버디, 네이버 블로그 등 다양한 온라인 커뮤니..
UBD 뜻 'UBD'는 2019년 영화 자전차왕 엄복동의 흥행 실패에서 비롯된 인터넷 유행어로, '엄복동'(Um Bok-Dong)의 앞 글자를 따 만든 줄임말이다. 이 단위는 영화 관객 수 172,212명을 기준으로 정의되며, 대한민국의 영화, 콘서트, 공연 등의 흥행 척도를 간단히 비교하기 위해 사용된다. 1 UBD는 약 17만 명으로 간주되며, 이 수치를 기반으로 티켓파워를 계산하는 유머러스한 지표로 자리 잡았다. UBD 역사 영화 자전차왕 엄복동은 150억 원이라는 막대한 제작비를 들였음에도 불구하고 약 17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실패했다. 그러나 이 숫자가 하필 대한민국 역대 최대 흥행작 명량(1,761만 명)의 1%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밈이 시작되었다. 이와 더불어, 주연 배우 비(정..
에바 뜻 ‘에바’는 과장되거나 지나치게 행동하는 것을 의미하는 신조어로, 대개 "이건 좀 심하다"는 의미를 담아 사용된다. ‘애바’로 적히기도 하며, ‘오버(over)’라는 콩글리시 표현과 유사한 뉘앙스를 가진다. 주로 부적절하거나 과도한 행동에 대해 유머러스하거나 비판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된다.유래: ‘오바(over)’를 비튼 형태로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다양한 어원 설이 존재한다. 현재는 ‘과장된 행동’을 나타내는 비공식적 표현으로 자리 잡았다.용례: 상황에 맞지 않게 행동하거나 지나친 반응을 보일 때 이를 ‘에바’라고 지적한다. 에바 역사 ‘에바’라는 표현은 2000년대 초반 수도권 지역에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용어는 ‘오바’의 변형으로 여겨지며, ‘에러+오바’의 합성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