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UBD 뜻 'UBD'는 2019년 영화 자전차왕 엄복동의 흥행 실패에서 비롯된 인터넷 유행어로, '엄복동'(Um Bok-Dong)의 앞 글자를 따 만든 줄임말이다. 이 단위는 영화 관객 수 172,212명을 기준으로 정의되며, 대한민국의 영화, 콘서트, 공연 등의 흥행 척도를 간단히 비교하기 위해 사용된다. 1 UBD는 약 17만 명으로 간주되며, 이 수치를 기반으로 티켓파워를 계산하는 유머러스한 지표로 자리 잡았다. UBD 역사 영화 자전차왕 엄복동은 150억 원이라는 막대한 제작비를 들였음에도 불구하고 약 17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실패했다. 그러나 이 숫자가 하필 대한민국 역대 최대 흥행작 명량(1,761만 명)의 1%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밈이 시작되었다. 이와 더불어, 주연 배우 비(정..
에바 뜻 ‘에바’는 과장되거나 지나치게 행동하는 것을 의미하는 신조어로, 대개 "이건 좀 심하다"는 의미를 담아 사용된다. ‘애바’로 적히기도 하며, ‘오버(over)’라는 콩글리시 표현과 유사한 뉘앙스를 가진다. 주로 부적절하거나 과도한 행동에 대해 유머러스하거나 비판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된다.유래: ‘오바(over)’를 비튼 형태로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다양한 어원 설이 존재한다. 현재는 ‘과장된 행동’을 나타내는 비공식적 표현으로 자리 잡았다.용례: 상황에 맞지 않게 행동하거나 지나친 반응을 보일 때 이를 ‘에바’라고 지적한다. 에바 역사 ‘에바’라는 표현은 2000년대 초반 수도권 지역에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용어는 ‘오바’의 변형으로 여겨지며, ‘에러+오바’의 합성어라..
억텐 뜻 ‘억텐’은 ‘억지로 텐션을 높이다’의 줄임말로, 주로 스트리머나 방송에서 격한 반응을 보이거나 흥분하는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된다. 원래 텐션이라는 단어가 일본에서 유래된 재플리시 용어로, ‘기분’이나 ‘컨디션’이 좋을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확산되었지만, ‘억텐’은 의도적으로 과장된 감정 표현이나 흥분을 의미한다. 이 단어는 특히 트위치와 같은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유행했으며, 이후 인터넷과 방송 문화에 널리 퍼졌다.파생형: ‘억텐’은 주로 스트리머들이 과장된 반응을 보일 때 사용되며, 상황에 따라 유머적 효과를 노린다.유사 표현: ‘찐텐’, ‘진텐’ 등으로 변형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억텐 역사 ‘억텐’은 2018년경, 트위치 방송에서 유래했다. 방송에서 스트리머가 과장된 반응을 보이거나 흥분..
알잘딱깔센 뜻 ‘알잘딱깔센’은 네 가지 단어를 축약한 표현으로, **‘알아서 잘 딱 깔끔하고 센스 있게’**의 줄임말이다.알: 알아서잘: 잘딱: 딱 맞게깔: 깔끔하게센: 센스 있게이는 주로 타인의 요청이나 상황을 자신의 센스를 발휘해 신속하고 완벽하게 처리하는 태도를 지칭한다. 알잘딱깔센 역사 인터넷 방송인 우왁굳이 자주 쓰는 말에서 시작되었다. 시작일은 2018년 6월 휠라와 우왁굳의 콜라보를 위한 공모전 생방송 중 처음 언급 https://www.youtube.com/watch?v=88BHHUccMx4 2020년 5월 30일 방탄소년단이 '알잘딱깔센'에 대해 언급하면서 실시간 검색어 1위에 등극했다. 이 표현은 일상 대화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되면서 빠르게 대중화되었다.기원:밈(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