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D 뜻 역사 사용법

UBD 뜻

 

'UBD'는 2019년 영화 자전차왕 엄복동의 흥행 실패에서 비롯된 인터넷 유행어로, '엄복동'(Um Bok-Dong)의 앞 글자를 따 만든 줄임말이다. 이 단위는 영화 관객 수 172,212명을 기준으로 정의되며, 대한민국의 영화, 콘서트, 공연 등의 흥행 척도를 간단히 비교하기 위해 사용된다. 1 UBD는 약 17만 명으로 간주되며, 이 수치를 기반으로 티켓파워를 계산하는 유머러스한 지표로 자리 잡았다.

 

 

UBD 역사

 

영화 자전차왕 엄복동은 150억 원이라는 막대한 제작비를 들였음에도 불구하고 약 17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실패했다. 그러나 이 숫자가 하필 대한민국 역대 최대 흥행작 명량(1,761만 명)의 1%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밈이 시작되었다.
이와 더불어, 주연 배우 비(정지훈)가 영화 개봉 이후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남긴 "술 한잔 마셨습니다. 영화가 잘 안 되어도 좋습니다. 엄복동 하나만 기억해주세요"라는 하소연이 커뮤니티에 퍼지며 유머러스한 조롱의 대상이 되었다. 이후 '1 UBD = 약 17만 명'이라는 단위는 박스오피스 성적을 비교하는 새로운 기준으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확산되었다.

 

728x90

 

UBD 사용법

 

UBD는 주로 영화나 공연의 흥행 성적을 유머러스하게 평가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60 UBD는 천만 관객 영화, 100 UBD는 명량과 같은 '만점' 영화, 300 UBD는 한국의 총인구를 상징한다.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활용된다:

  • 흥행작 비교: "이번 영화는 50 UBD를 넘었다! 꽤 성공적이야."
  • 비꼬는 용도: "저 영화는 0.5 UBD도 못 넘었어."
  • 문화적 유머: "대한민국 국회의 정원이 300 UBD라니, 기막힌 우연이야."

이러한 사용법은 박스오피스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표현하는 데 유용하며, 흥행을 넘어 대중문화적 농담의 소재로도 자주 쓰인다.

 

SMALL

 

UBD 결론

 

UBD는 영화 자전차왕 엄복동의 흥행 실패에서 탄생한 독특한 문화적 밈으로, 단순한 실패를 넘어 대중문화의 유머 코드로 자리 잡았다. 이 단위는 박스오피스 성적을 쉽게 비교하는 기준을 제공하며, 영화와 공연의 흥행 정도를 간결하면서도 유쾌하게 표현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된다. 흥행 실패와 대중의 조롱이 결합하여 탄생한 이 유머는, 어쩌면 실패조차도 콘텐츠로 승화할 수 있는 대중문화의 힘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ㅇㅈ 뜻 역사 사용법  (3) 2023.09.22
엄친아 뜻 역사 사용법  (0) 2023.09.18
억까 뜻 역사 사용법  (0) 2023.09.08
에바 뜻 역사 사용법  (0) 2023.07.25
엄근진 뜻 역사 사용법  (0) 2023.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