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떼껄룩 뜻 ‘떼껄룩’은 본래 게임 엘더스크롤 시리즈의 NPC 종족인 카짓(Khajiit)이 상점을 열며 하는 대사 “Take a look”을 카짓 특유의 억양으로 들은 한국 유저들이 이를 음성 그대로 “떼껄룩”이라 받아들인 데서 유래한 말이다. 이후 이 단어는 단순히 카짓뿐 아니라 고양이와 고양이과 동물을 총칭하는 신조어로 확장되어, 오늘날에는 인터넷 밈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한마디로, “떼껄룩 = 고양이”라는 등식이 굳어진 것이다. 떼껄룩 역사 엘더스크롤 시리즈의 스카이림에서 카짓 종족이 “Take a look”이라고 말할 때 그 억양이 유달리 능청스럽고 경박해 “떼껄룩”으로 들렸고, 이것이 유저들 사이에서 농담 삼아 회자되기 시작했다. 이 밈은 특히 한국 게이머들 사이에서 강하게 퍼졌으며, 최초 ..
닥눈삼 뜻‘닥눈삼’은 ‘닥치고 눈팅 삼일’의 줄임말이다. 즉,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새로운 이용자가 글을 작성하거나 댓글을 달기 전에 3일 동안 눈팅(관찰)하며 해당 커뮤니티의 분위기와 암묵적인 규칙을 파악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주로 텃세적인 성격을 띠며, 기존 이용자들이 새로운 유입자들에게 적응 기간을 강요하는 형태로 사용되었다. 원래는 ‘닥치고 눈팅 3년’이라는 더 극단적인 버전에서 비롯되었으나, 현실적으로 너무 길다는 이유로 ‘3일’로 줄어들어 일반적인 개념이 되었다. 닥눈삼 역사닥눈삼은 디시인사이드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에서 처음 등장한 용어이다. 당시에는 신규 유입자들이 기존 갤러리 이용자들의 분위기를 읽지 못하고, 분위기를 망치는 일이 잦았기 때문에 "처음 왔으면 조용히 눈팅이나 하라"는..
대빵 뜻 ‘대빵’은 집단이나 무리에서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 즉 우두머리를 가리키는 은어이다. 흔히 조직의 리더, 팀의 주축, 또는 최상위 계급의 인물을 일컫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이는 표준어인 ‘대장’이나 ‘우두머리’와 유사한 의미를 가지지만, 비공식적이고 친근한 뉘앙스를 풍긴다. ‘대빵’은 특히 조직 내 위계가 강조되는 상황이나 위트 있는 대화에서 자주 쓰인다. 대빵 역사 ‘대빵’은 일본어 ‘다이(大)’와 ‘빵(判)’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어에서 ‘다이빵(大判)’은 “큰 판” 또는 “주요 인물”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 단어가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한국에 들어와 구어체로 변형되면서 ‘대빵’이라는 형태로 자리 잡았다. 이후 한국 사회에서 위계를 강조하거나 우두머리를 친근하..
DDR 뜻 'DDR'은 자위행위를 완곡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은어로, 한국어 '딸딸이'의 발음에서 따온 "DdalDdaRi"의 머리글자를 로마자로 표기한 용어다. 이는 자위행위를 직접적으로 언급하기 어렵거나 분위기를 덜 진지하게 만들고자 할 때 주로 쓰인다. DDR 역사 이 용어는 주로 2000년대 초반부터 온라인 커뮤니티나 대화에서 '딸딸이'라는 표현을 조금 더 은밀하게 표현하려는 목적으로 등장했다. 특히, 게임 DDR(Dance Dance Revolution)의 인기가 높아진 시기에 'DDR'이라는 줄임말이 의도적으로 자위행위의 의미로 사용되었고, 이때부터 유머스럽고 간접적인 표현으로 자리 잡았다. 초기 유행 당시 SKT의 TTL 요금제에서 딴 'TTL' 역시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 적이 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