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몸짱 뜻 ‘몸짱’은 운동을 통해 건강하고 아름다운 몸매를 가꾼 사람을 지칭하는 신조어다. 이 단어는 대한민국에서 2000년대 초반 유행하며 대중적으로 자리 잡았다. ‘몸’은 신체를, ‘짱’은 최고 또는 우두머리를 뜻하는 속어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합성하여 ‘몸매가 뛰어난 사람’을 가리킨다.처음에는 특정 인물에게만 국한된 별칭이었으나, 점차 운동과 다이어트로 몸을 단련한 사람들을 칭하는 보편적인 표현으로 확산되었다. 주로 균형 잡힌 근육과 선명한 식스팩 등 몸매의 조화로움을 중요하게 여긴다. 몸짱 역사 ‘몸짱’이라는 단어는 2003년 인터넷 매체 딴지일보의 칼럼 에서 등장하며 대중에게 알려졌다. 특히, ‘몸짱 아줌마’ 정다연이 이 신조어의 대중화를 이끌었다. 정다연은 40대 주부라는 평범한 정체성에도 불..
맘충 뜻 ‘맘충’은 ‘엄마(Mom)’와 ‘벌레(蟲)’를 합친 표현으로, 자녀와 관련된 이기적인 행동으로 타인에게 불편을 주는 엄마들을 비하하는 신조어이다. 이 단어는 공공장소에서 무례하거나 민폐를 끼치는 특정 엄마들에 대한 불만과 혐오를 담고 있으며, 주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확산되었다. 부정적 의미를 강하게 내포한 표현으로써, 단순한 비판을 넘어 혐오와 조롱의 성격을 띤 경우도 많다. 맘충 역사 ‘맘충’은 2015년경 방송 프로그램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서 시청자들이 만들어낸 단어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방송 채팅창에서 특정 엄마들이 자녀의 이름을 불러달라는 반복적이고 무리한 요청을 하며 방송의 흐름을 방해하자, 이를 비판하는 표현으로 ‘맘충’이라는 단어가 등장했다. 이후 인터넷 커뮤니티와 소셜 미디어를..
마기꾼 뜻 ‘마기꾼’은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외모가 더 예쁘거나 잘생겨 보이다가, 마스크를 벗었을 때 기대와 다른 외모를 보여주는 사람을 지칭하는 신조어다. 이 단어는 '마스크'와 '사기꾼'을 결합하여 만들어졌으며, 마스크 착용 상태에서 외모가 더 좋다고 느껴지던 사람들이 마스크를 벗고 나서 실망감을 안겨주는 경우에 사용된다.유래: '마기꾼'은 마스크를 쓰고 있을 때와 벗었을 때의 외모 차이를 비판적으로 표현하는 용어로, 마스크 착용 이후 기대감을 조성하고 벗었을 때의 갭을 풍자한다.유머적 사용: 비꼬는 의미로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마스크를 벗었을 때 외모의 차이를 진지하게 묘사할 때도 사용된다. 마기꾼 역사 ‘마기꾼’이라는 표현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되면서 나타났다. 마스크를 ..
믿거 뜻 ‘믿거’는 ‘믿고 거른다’의 약어로, 특정 인물이나 물건에 대해 반복적으로 실망을 안겨주거나 신뢰할 수 없다는 평가가 내려질 때 사용된다. 이 표현은 주로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며, 사람들 사이에서 신뢰할 수 없는 상황이나 대상을 지칭할 때 흔히 사용된다. 원래는 주로 소비자나 대중의 신뢰를 잃은 인물이나 브랜드에 대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더 넓은 의미로 확장되어 다양한 상황에 쓰인다.파생형: ‘믿고 거른다’라는 표현에서 나온 ‘믿거’는 비슷한 맥락으로 ‘불신’, ‘불신자’ 등의 의미로도 사용된다.이 단어는 최근 몇 년간 대중 문화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자주 등장하며, 사람들의 불신을 표현하는 중요한 속어로 자리 잡았다. 믿거 역사 ‘믿거’라는 단어는 2000년대 중반부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