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NTR 뜻 'NTR'은 일본어 'ネトラレ(네토라레, Netorare)'의 약자로, 연인이나 배우자가 다른 사람에게 빼앗기는 상황을 묘사하는 장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 만화, 소설, 게임 등의 서브컬처에서 사용되며, 심리적 배신과 상실감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 전개가 특징이다. 네토라레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하나는 당사자가 의도적으로 파트너를 양도하는 '합의된 네토라레'이며, 다른 하나는 당사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강제로 빼앗기는 '비합의 네토라레'다. 후자는 감정적으로 더욱 강한 충격을 주며, 이를 소비하는 사람들은 강한 몰입감과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NTR 역사 NTR 장르의 기원은 일본 에로게(성인 게임)와 도진시(동인지) 문화에서 시작되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
원코 뜻 ‘원코’는 ‘One Coin’을 줄인 말로, 원래는 아케이드 게임에서 단 한 번의 동전(100원)으로 게임을 클리어하는 것을 의미했다. 현대에 와서는 ‘한 번의 기회’라는 의미로 확장되었으며, 특히 온라인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의 칼바람 나락 모드에서 상대방에게 한 번만 더 기회를 달라는 뜻으로 자주 사용된다. 원코 역사 원코는 1990년대 문구점 앞에 있던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100원을 넣어 게임을 시작했으며, 단 한 번의 동전으로 게임을 끝까지 클리어하는 것을 ‘원코인 클리어’라고 불렀다. 이는 1945, 보글보글, 킹오브파이터즈와 같은 게임들에서 고수들만이 할 수 있는 특별한 기술로 여겨졌다. 이 표현은 2000년대 초반까지도 아케이드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 사이에서 일종..
익명 뜻 ‘익명’이란 자신의 이름을 숨기거나 밝히지 않는 상태를 뜻한다. 이는 개인의 신원을 보호하거나 특정 상황에서 사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익명의 개념은 현대 사회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며, 법적, 사회적, 개인적 이유로 익명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자신의 신원이 노출될 경우 사생활 침해나 보복 위험이 있을 때, 익명은 이를 방지하는 중요한 도구가 된다. 익명은 특히 민주주의 국가에서 중요한 권리로 간주되며, 익명성은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고, 정치적 활동이나 공익적 행위에 대한 참여를 장려하는 역할을 한다. 익명 역사 익명의 개념은 고대부터 존재했으며, 근대에 들어와 법적, 정치적, 사회적 차원에서 더 체계적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민주주의와 인권의 발전 과정에서 익명은 개인의 ..
lol 뜻 lol은 "laugh(ing) out loud" 또는 "lots of laughs"의 약어로, "크게 웃다"라는 뜻이다. 영어권에서 인터넷 슬랭으로 사용되며, 한국어의 "ㅋㅋ"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보통 소문자로 "lol"로 쓰며, 읽을 때는 "롤" 또는 그대로 스펠링을 읽어 "엘오엘"로 발음한다. 단순히 웃음을 표현하거나, 비웃음의 뉘앙스를 담기도 한다. lol 역사 lol은 1980년대 후반부터 인터넷상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약어로, 영어권 인터넷 문화의 초창기를 대표하는 용어 중 하나다. 초기에는 채팅방과 이메일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2000년대 들어 SNS와 메시징 앱이 보편화되면서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원래의 "크게 웃는다"는 의미보다는 관습적으로 쓰이거나 비웃음..
6.9cm 뜻 ‘6.9cm’는 한국 남성의 평균 성기 발기 길이가 6.9cm라는 주장을 조롱하거나 비하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메갈리아와 같은 남성혐오 커뮤니티에서 만들어졌으며, 사실과 다른 왜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 표현은 단순히 신체적 특징에 대한 논의가 아니라, 성별 갈등과 남성에 대한 혐오를 표현하는 데 주요하게 활용된다.‘6.9cm’는 남성의 신체적 특징을 근거로 성적 비하를 하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상대방을 비하하면서도 특정 성별에 대한 우월감을 드러내는 성별 대립적 문화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6.9cm 역사 ‘6.9cm’라는 표현은 2000년대 초반 일본의 혐한 커뮤니티인 2ch와 네이버 인조이재팬(EnjoyJapan) 게..
완경 뜻 ‘완경(完經)’은 폐경(閉經)을 대체하여 사용하려는 단어로, 여성운동권에서 제안한 용어다. 폐경이라는 단어가 주는 부정적이고 소멸적인 뉘앙스를 줄이고, 여성의 생물학적 변화 과정을 보다 긍정적으로 바라보자는 취지에서 만들어졌다. ‘완경’은 한자로 완전할 완(完)과 경혈 경(經)을 사용하여, 여성의 월경 주기가 완결되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완경 역사 완경이라는 단어는 여성운동 단체들, 특히 한국여성민우회 등에서 폐경이라는 표현이 남성 중심적인 시각에서 유래한 용어라고 주장하며 등장했다. 이들은 폐경의 ‘폐(閉)’라는 한자가 닫히거나 중단된다는 뜻을 담고 있어 여성의 신체 변화를 부정적으로 묘사한다고 비판한다. 이에 따라 ‘완경’을 통해 여성의 생애 주기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자는 주장을 내세웠다..